2013년 12월 4일 수요일

알베도 효과

북극의 바다 얼음은 지구 기후 변화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한겨울 제트 기류의 강약을 조절함으로써 온대 지방의 날씨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더욱 근본적으로는 장기적인 지구 온난화의 키를 쥐고 있다. 

지구 온난화에 따라 북극의 바다 얼음이 줄고 있다. 온도가 높아졌으니 얼음이 줄어드는 건 당연하다. 그런데 바다 얼음이 줄어들수록 지구 온난화는 더욱 거세진다. 왜 그럴까? 바로 알베도 효과 때문이다.

눈이 올 떄는 포근하다가다도 눈이 그친 뒤 거리는 빙판으로 덮이면 공기가 더 냉랭해진다.눈이 그친 뒤 더 추워지는 이유는 거리에 쌓인 '하얀 눈' 때문이다. 거리에 쏟아지는 태양 복사 에네지를 햐얀 눈이 반사해 버리기 때문이다. 쉽게 말해 따뜻한 공기가 거리 위에 머물지 못한다는 뜻이다.

북극에서도 마찬가지다. 북극에는 바다 얼음이 덮여 있다. 태양 복사 에너지가 북극에 닿으면, 하얀 북극의 바다 얼음은 그중의 상당 부분을 지구 밖으로 반사해 내보낸다. 

하지만 바다 얼음이 없으면 어떻게 될까? 태양 복사 에너지는 지표면에 그대로 흡수된다. 지구가 더 더워지는 것이다. 이 때문에 북극의 바다 얼음이 줄어들수록 지구 온난화의 효과는 더 커지게 된다. 이를 알베로 효과 라고 부른다. 

이때 알베도는 반사율을 말한다. 하얀색은 갈색이나 검은색보다 햇빛을 더 많이 반사시킨다. 지구가 태양 복사 에너지를 받으면서도 끓어오르지 않는 이유는 바로 북극 바다 얼음의 알베도 효과 때문이다.

(출처 지구가 뿔났다. 남종영지음)




댓글 4개:

  1. 알베도 효과도 알게 되고 더욱 북극의 얼음이 중요하다는 사실또한 알았는데...계속 얼음이 녹고 있으니 걱정이네요 ㅠㅠ

    답글삭제
  2. 태양 복사 에너지가 북극에 닿으면, 하얀 북극의 바다 얼음은 그중의 상당 부분을 지구 밖으로 반사해 내보내어 지구가 더워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런데 북극의 얼음이 녹아 지구온난화가 가중된다하니 대체방법을 찾아야 한다. 국제위러브유운동본부의 클린월드운동이 생각납니다.~

    답글삭제
  3. 악순환의 연속이군요.. 알베로효과
    더워서 녹고,, 녹으니 더더위지고.
    더큰재난과 기후변화로 인한 재앙이 오기전에 기후변화에 대한 대책이 세워져야 할텐데

    답글삭제
  4. 음... 그래서 북극의 얼음이 중요했군요. 인류의 욕심으로 지구가 병들고 있는데, 어서 빨리 밝은 내일을 위해 모든 인류가 힘을 모을 때가 아닌가 합니다.

    답글삭제